본문 바로가기

말차도구

by misstea1 2025. 7. 2.

 

 

말차(抹茶)는 일본의 전통 다도(茶道)에서 비롯된 가루 녹차로,

그 특유의 맛과 풍미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전용 도구들이 필요합니다.

 

말차 도구는 단순히 차를 우려내는 것을 넘어,

차를 준비하고 마시는 전과정에서 의식과 정성을 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말차, 말차도구, 녹차도구, 말차용기, 차도구

 

 

 

 

1. 다완(茶碗, 말차 그릇)

 

* 정의와 용도: 말차를 우려내고 마시는 그릇입니다.

                        일반 찻잔보다 크고 깊으며, 손에 쥐기 편한 형태로 제작됩니다.

* 특징: 도자기, 자기, 흙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며, 

             계절마다 어울리는 다완을 사용하는 것이 일본 다도의 전통입니다.

             표면의 유약, 무늬, 색감, 크기 등이 다양해 수집의 재미도 큽니다.

  관리법: 사용 전 따뜻한 물로 예열하고, 사용 후에는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 건조합니다.

 

 

 

 

 

2. 차선(茶筅, 말차 거품솔)

 

정의와 용도: 대나무로 만든 솔 형태의 도구로, 

                       말차 가루와 뜨거운 물을 다완에서 저어 거품을 내는 데 사용합니다.

구조와 종류: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 여러 갈래(본)로 만듭니다.

                        본 수는 16본에서 150본까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80본, 100본, 120본 등이 많이 사용됩니다.

                        본 수가 많을수록 거품이 더 풍성하게 일어나고, 섬세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특징: 겨울에 수확한 대나무를 1년 이상 건조해 만들며, 화학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전통적 방식입니다.

관리법: 사용 전 미지근한 물에 적셔 부드럽게 만들고,

                사용 후에는 깨끗이 씻어 차선걸이에 세워서 자연 건조합니다.

                습기에 약하므로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3. 차시(茶匙, 말차 스푼)

 

정의와 용도: 말차 가루를 덜어 다완에 넣을 때 사용하는 스푼입니다. 

                        대나무로 만든 기다란 막대 모양이 전통적이지만,

                        금속이나 나무 등 다양한 소재로도 제작됩니다.

종류: 마디가 있는 대나무 차시(전통적)와 마디 없는 차시(실용적)로 나뉩니다. 

             일본식 다도에서는 마디가 있는 차시를 선호합니다.

특징: 말차의 정량(1.2g 내외)을 깔끔하게 덜어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차시의 형태와 소재에 따라 말차의 양 조절이 용이합니다.

관리법: 사용 후 마른 천으로 닦아 보관하며,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습기와 곰팡이를 주의해야 합니다.

 

 

 

 

 

4. 차선걸이(茶筅立, 차선 꽂이)

 

정의와 용도: 사용한 차선을 세워서 보관하는 도구입니다. 

                        차선의 모양을 유지하고, 자연 건조를 돕습니다.

특징: 자기, 도자기,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며,

             차선의 크기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차선걸이에 세워두면 차선이 휘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5. 차통(茶筒, 말차통)

 

정의와 용도: 말차 가루를 보관하는 용기입니다.

특징: 밀폐력이 좋은 금속, 나무, 도자기 등으로 만들어지며, 

             습기와 빛을 차단해 말차의 신선함을 유지합니다.

 

 

 

 

 

6. 다건(茶巾, 다완 수건)

 

정의와 용도: 다완의 물기를 닦거나, 말차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천입니다.

특징: 면, 마 등 흡수력이 좋은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다완의 위생과 말차 맛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항상 깨끗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7. 거름망(체, Sifter)

 

정의와 용도: 말차 가루를 다완에 넣기 전에 체에 내려 고운 입자만 사용하도록 하는 도구입니다.

특징: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체에 내린 말차는 뭉침 없이 잘 풀리고, 거품도 더 부드럽게 올라옵니다.

 

 

 

 

 

8. 탕관(湯罐, 온수 주전자)

정의와 용도: 말차를 우릴 뜨거운 물을 담아두는 주전자입니다. 

                        때로는 찬물을 담는 탕관도 별도로 사용합니다.

특징: 온수와 냉수를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전통 다도법의 특징입니다. 

             물의 온도와 양이 말차의 맛을 좌우합니다.

 

 

 

 

 

9. 퇴수기(廢水器, 버리는 물 그릇)

 

정의와 용도: 다완을 예열한 물이나 사용 후 남은 물을 버리는 그릇입니다.

특징: 도자기,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며, 다도 공간의 청결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10. 다구 받침대

정의와 용도: 차선, 차시 등 말차 도구를 올려두는 받침대입니다.

특징: 나무, 도자기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며, 도구의 위생과 보관에 도움을 줍니다.

 

 

말차, 말차도구, 녹차도구, 말차용기, 차도구

 

결론

말차 도구는 각각의 역할과 의미가 뚜렷하며, 

제대로 된 말차 한 잔을 위해서는 각 도구의 쓰임과 관리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다완, 차선, 차시, 차선걸이, 차통, 다건, 체, 탕관, 퇴수기, 받침대 등은 

모두 말차의 깊은 맛과 다도 문화의 정수를 경험하게 해주는 필수품입니다. 

도구 하나하나에 담긴 전통과 섬세함을 느끼며, 정성스럽게 말차를 준비해보세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차 도구  (0) 2025.07.03
티백 종류  (0) 2025.07.01
곡물차 부작용  (0) 2025.06.28
곡물차란  (0) 2025.06.27
물 대신 마실 수 있는 차  (0) 2025.06.26
허브차 카페인&탄닌  (0) 2025.06.25
허브차와 철 결핍&빈혈에 미치는 영향  (0) 2025.06.24
허브차 부작용  (0) 2025.06.23